맞춤건강관리

전화 문의 안내

  • 02-854-3181
  • Fax. 02-854-4186
  • 평일 09:00 ~ 18:30
  • 점심시간 12:30 ~ 13:30
  •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공휴일 휴진

건강소식지

  • 맞춤건강관리
  • 건강소식지

제목

비만과 당뇨병, 청년층 건강에 적신호…어떤 치료가 필요할까?

image

청년 당뇨병 환자들이 자신의 질병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치료에 소극적인 경우가 많아, 이들에 대한 인식 개선과 조기 치료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한당뇨병학회가 청년 당뇨병 환자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노년층보다 현저히 낮은 인지·치료율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대한당뇨병학회는 2019~2022년에 국가 건강검진을 받은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국내 노인당뇨병과 청년당뇨병 현황'을 분석했다. 19~39세 청년 당뇨병 환자는 약 30만 명에 달했지만, 이 중 자신의 당뇨병을 인지하고 있는 비율은 43.4%에 불과했다. 노년층의 인지율인 78.8%와 비교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청년 당뇨병 환자의 치료율 역시 저조했다. 질병을 인지한 청년층 당뇨병 환자 중 34.6%만이 치료를 받고 있었다. 이는 노년층 치료율 75.7%에 비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로, 당뇨병 관리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할 필요성이 절실하다. 특히 20대 환자들의 경우 인지율이 27.1%, 치료율은 16.5%에 그쳐, 다섯 명 중 한 명만 치료 중인 실정이다.

혈당 조절 어려운 청년층, 약물치료가 시급
청년 당뇨병 환자들은 혈당 조절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 비율도 높았다.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 조절을 위해 당화혈색소 수치를 6.5%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장하지만, 청년 당뇨병 환자 중 이 목표를 달성한 비율은 29.6%에 불과하다. 이는 10명 중 3명만이 혈당 조절을 유지하고 있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생활습관 개선을 우선 권장하지만, 목표 수치에 달성하지 못하면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당뇨병 진단 시 당화혈색소가 7.5~8.0% 이상일 경우에는 생활습관 개선과 더불어 경구 혈당 강하제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뇨병 치료제, 환자 상태에 맞춘 선택이 필요
당뇨병 치료는 환자의 연령, 체중, 동반 질환 등 상태에 따라 적합한 치료제가 선택된다. 제2형 당뇨병의 경우 첫 치료제로 메트포르민(metformin) 단독 요법이 주로 권장되지만, 혈당이 높은 경우 여러 약제를 병합할 수도 있다.

1. 인슐린
인슐린 주사를 맞는 당뇨병 환자는 혈당 조절 정도에 따라 인슐린의 종류와 용량을 수시로 조정해야 한다. 인슐린은 작용하는 시간에 따라 초속효성, 속효성, 중시간형, 지속형, 혼합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피하로 직접 주사하는 방법과 인슐린 펌프로 주입하는 방법이 있다.

2. 경구용 혈당강하제
● 비구아니드계 약물 : 메트포르민이 대표적으로, 간에서의 포도당 생성 억제, 소장에서 포도당 흡수 감소, 근육에서 포도당 이용 증가 등을 통해 혈당을 조절한다.
● sglt2 억제제 : 소변을 통해 포도당을 배출시켜 혈당 상승을 억제한다.
● dpp4 억제제 : 음식물 섭취 시 우리 위장관에서는 인크레틴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어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를 조절한다. dpp4 억제제는 이러한 인크레틴 호르몬을 분해하는 dpp4라는 효소를 억제하여 혈당을 조절한다.
● 설폰요소제 :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혈당을 조절한다.
● 티아졸리딘디온 : 근육과 지방에서 인슐린 작용을 개선시킨다.
●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 : 포도당의 장내 흡수를 지연시켜 음식물 섭취 이후 혈당 상승을 억제한다.

3. 주사용 혈당강하제
주사용 혈당강하제는 주사 형태로 투여되는 당뇨병 치료제로 glp-1 효능제가 있다. glp-1은 위장관에서 분비되는 인크레틴 호르몬의 일종으로 혈당 의존적으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혈당을 조절한다. dpp-4 억제제처럼 혈당 의존적으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므로 단독으로 사용 시 저혈당 위험이 낮다.

청년 당뇨병 환자, 비만율도 높아…적정 체중 유지 필수
청년 당뇨병 환자의 높은 비만율 또한 문제로 지적된다. 분석에 따르면 청년 당뇨병 환자의 87%가 비만 상태이며, 남성의 88.8%, 여성의 75.5%가 복부비만으로 나타났다. 비만은 당뇨병 발병과 합병증 발생 위험을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 특히 복부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혈당 조절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이 때문에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청년 당뇨병 환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당뇨병은 조기 관리와 꾸준한 치료가 합병증 위험을 줄이는 핵심이다. 대한당뇨병학회 차봉수 이사장은 젊다고 당뇨병을 가볍게 여기면 향후 합병증 위험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며, 청년층의 인식 개선과 적극적인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